- Managed Mode - 가장 일반적이다.
- 무선 클라이언트(Station)가 Wireless AP 로 바로 연결 할 떄 사용
- 모든 통신 진행을 Wireless AP 에게 맡김.
- 가정집의 공유기가 대표적이다.

- Ad-Hoc Mode - Master Control Station이 없는 경우
- 컴퓨터들이 서로에게 직접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모드
- 각 클라이언트가 통신에 관한 모든 책임을 지게 됨.
- BSSID 가 랜덤하게 생성.

- Master Mode
-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(NIC)가 다른 드라이버 소프트웨어와도 결합해서 작동.
- NTT는 Master NTT를 AP로 인식한다.
- NIC가 마스터 모드를 지원해야 가능하다.

- Monitor Mode
- RFMON (Radio Frequence Monitoring) 모드이다.
- 오고가는 패킷을 전송 받거나 전송하지는 못하지만 Monitoring이 가능해서 모든 패킷을 볼 수 있다.
- 특징은 다른 네트워크 패킷도 볼수 있다.
- Passive mode 이다.

'Hacking Tech > Wireless Hack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무선해킹시리즈 2-2 해킹실습1] 타겟의 SSID를 확인하기 위한 사전공격 - 사용자 인증 해제 기법 (0) | 2022.08.26 |
---|---|
[무선해킹시리즈 2-1] 802.11 프로토콜 생김새는? (0) | 2022.08.25 |
[무선해킹시리즈 1-3] 무선 네트워크망의 종류는 무엇이 있나? (0) | 2022.08.21 |
[무선해킹시리즈 1-2] 무선의 2계층 통신 IEEE 802.11 프로토콜을 알아보자 (0) | 2022.08.20 |
[무선해킹시리즈 1-1] 무선(Wireless)는 무엇인가? (0) | 2022.08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