무선 네트워크를 이해해가고 있습니다.

유선과 마찬가지로 무선도 네트워크 망이 존재합니다.

종류가 무엇인지 알아봅시다

 

무선 네트워크 토폴로지

Ad-hoc / IBSS (Independent Basic Service Set) 방식

  • Station 간에 AP를 거쳐서 통신하는 것이 아닌 직접통신을 함

BSS(Basic Service Set)

  • Infrastructure Network 의 경우 AP 를 포함한 모든 Station 을 BSS 라고 함
  • AP 는 BSS 내에서 단지 마스터 제어 스테이션의 역할을 가지므로 BSS 의 일부에 속함

 

ESS(Extended Service Set)

  • 하나의 AP 로 커버할 수 없는 넓거나 길이가 긴 모양의 사무실 형태에서 사용되는 토폴로지
  • 여러 개의 AP 를 이용하여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각 AP 들은 동일한 SSID 를 사용함
  • 동일한 네트워크 ESS에서 다른 BSS로 이동할 때 사용하는 것이 로밍이다.


IDentifier

 

SSID(Service Set IDentifier)

  • 동일한 WLAN 내에서 오가는 각 패킷들의 해더에 덧붙여지는 고유의 식별자이며, 하나의 WLAN 을 다른 WLAN 과 구분해 줌
  • 한마디로 네트워크 이름이고 ESS를 구분시켜주는 ID이다. (SSID = ESSID)
  • 동일한 WLAN 에 있는 모든 무선 장치들은 반드시 동일한 SSID 를 가져야 함
  • 평문으로 전달되는 보안상의 문제점이 있음

보통 하나의 ESS 안에 하나의 BSS가 있는것이 대부분이다.

따라서 SSID = ESSID

 

BSSID(Basic Service Set IDentifier)

  • 각 BSS 를 구분하는 48비트 길이의 값을 의미함
  • Infrastructure Network 형태에서는 BSSID 는 AP 의 MAC 주소를 의미하며 Ad-Hoc Network(1:1) 형태 에서는 BSSID 가 랜덤하게 생성됨

ESSID(Extended Service Set IDentifier)

  • 논리적으로 ESS 를 구분하는 문자열 형태의 식별자
  • 일반적으로 SSID 와 동일한 값을 가짐

​총정리

 

 

*로밍 (Roaming)

기지국에서 기지국으로 넘어가는 것.

같은 네트워크 망에서 서로 다른 BSS 에서 다른 BSS 로 옮겨 다니는 것.

무선 인터넷의 특징 중 하나는 AP에 계속 붙으려는 성질이 있다.

연결이 끊기면 붙을 수 있는 AP를 찾아 계속 붙으려는 성질 때문에 문제가 되기도 한다.

 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