무선랜을 꽂은 후...
VM - Removable Devices - USB Devices 에 장치명이 체크 되어 있는지 확인.

장치를 활성화 시켜준다.

정보를 확인한다.

랜카드의 모드를 결정할 수 있는데 방법은 위와 같다.
monitor mode는 모니터링만 할 수 있는 모드이고 managed모드는 접속해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모드이다.
채널을 바꾸려면 iwconfig raubs0 channel 1 이런식으로 바꾸면 된다.

만약 kismet을 사용하고 싶다면 칩셋등 몇가지 설정을 해야한다.
/usr/local/etc/kismet.conf 이곳에서
27번째줄에 source==none.none.addme 를 source=rt2500.rausb0.addme 로 변경해야함(addme는 아무거나 넣어도 됨)
실습에선 랜모듈이 rt2500이기 때문에 rt2500으로 변경한 것이고 rausb0는 인터페이스다.

모드를 managed 로 변경.

Wlassistant를 실행한다.

연결 할 수 있는 ESSID 확인.

Wireshark 로 패킷 확인.
'Hacking Tech > Wireless Hack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무선해킹시리즈 4-2] WEP의 취약점이 뭐길래 공격이 가능한걸까? (0) | 2022.09.03 |
---|---|
[무선해킹시리즈 4-1] WEP (Wired Equivalent Privacy)이 뭔데? (0) | 2022.09.02 |
[무선해킹시리즈 3-1] 해킹할 공유기 찾는 원리 (0) | 2022.08.31 |
[무선해킹시리즈 2-6 해킹실습3] 타켓 PC를 내 공유기에 붙게 할 수는 없나? - Rogue AP (0) | 2022.08.30 |
[무선해킹시리즈 2-5 해킹실습2] MAC Layer를 배웠으니 공유기에 기생해보자 - MAC Filtering 우회 기법 (2) | 2022.08.29 |